시도 고용률, 제주 최고·전북 최저…8.5%p 격차

정부 "일자리 사업에 지자체 참여·권한 확대"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5-08 14:00:05

시도 고용률, 제주 최고·전북 최저…8.5%p 격차

정부 "일자리 사업에 지자체 참여·권한 확대"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올해 들어 전국 시도 가운데 제주도의 고용률이 가장 높고 전북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고용노동부와 행정자치부 등에 따르면 서울시와 세종시를 제외한 15개 시도가 3월 기준으로 공시한 15∼64세 고용률은 63.6∼72.1%를 기록했다.

1분기 전국 평균 고용률 64.9%에 견줘 제주(72.1%), 경북(68.6%), 충남(68.6%), 충북(68.3%), 경기(67.2%) 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전북(63.6%), 부산(64.0%), 울산(64.0%), 광주(64.1%)는 전국 고용률 평균에 미달했다.

이날까지 시도별 고용률을 공시하지 않은 서울시의 통계청 기준 3월 고용률은 65.2%로 전국 평균과 비슷했다.

서울시를 포함한 16개 시도 가운데 11곳은 정부의 올해 목표 고용률 66.9%에 미치지 못했다.

고용부와 행자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 별관 국제회의장에서 17개 시도 부단체장이 참석한 가운데 '중앙·지방자치단체 정책협의회'를 열어 정부의 '고용률 70% 로드맵'을 달성하기 위한 중앙·지방의 역할을 논의했다.

고용부는 협의회에서 각 지자체가 고용률 로드맵을 달성할 수 있도록 각종 일자리 사업에 자치단체의 참여·권한 확대를 유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광역자치단체의 주력·연고산업에 연계된 일자리 사업에 지원규모를 내년부터 1건당 최대 15억원에서 30억원으로 높이고, 기초자치단체의 복지 인력양성사업에 대해선 지원규모를 최대 8억원에서 10억원으로 올리는 방안을 추진한다.

자치단체 일자리사업에 대한 지원기간도 1년 단위에서 최대 3년으로 연속성을 도모할 방침이다.

이기권 고용부 장관은 "고용률 70% 달성과 노동시장 구조개선은 지역 현장의 공감대와 실천노력이 중요하다"면서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힘써주기를 당부했다.

정종섭 행자부 장관은 "중앙·지방자치단체 정책협의회가 중앙과 지방의 소통과 협업 및 문제해결의 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