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북미 상업용 에너지저장장치시장 본격 공략
美 최대 전력제품 유통사 젝스프로 등과 MOU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5-03 11:00:06
LG화학, 북미 상업용 에너지저장장치시장 본격 공략
美 최대 전력제품 유통사 젝스프로 등과 MOU
(서울=연합뉴스) 옥철 기자 = LG화학[051910]이 북미지역 상업용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에 나섰다.
LG화학은 최근 미국 최대 전력제품 유통업체 젝스프로(Gexpro), 전력변환장치(PCS) 업체 아이디얼 파워(Ideal Power),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업체 젤리(Geli) 등 3개사와 상업용 ESS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에 따라 LG화학은 젝스프로가 개발 중인 45㎾h급 상업용 ESS에 배터리를 공급한다. 이 ESS는 다음 달부터 미국 내 학교·병원·주유소·오피스빌딩 등에 공급된다.
전력 수요가 적은 야간에 전기를 저장했다가 수요가 많은 낮에 전기를 공급하는 피크-시프트(Peak-Shift)용 ESS를 상업용 건물에 적용하면 연간 전기요금을 3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북미지역 상업용 ESS 시장은 올해 65㎿h에서 2020년 1GWh 규모로 연평균 7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GE의 유통법인이던 젝스프로는 2006년 유럽 최대 전력제품 유통업체인 프랑스 렉셀(Rexel)에 인수됐다.
이번 제휴로 LG화학은 미국 전역에 80개 넘는 유통망을 확보한 젝스프로의 영업네트워크를 활용해 북미 시장 고객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북미 ESS 시장은 전력공급 시장에서 점차 가정용·상업용 전력수요 시장으로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미국은 연중 최고 전력 사용량에 따라 기본요금이 책정돼 전력 사용이 많은 빌딩과 상업용 건물에 ESS를 설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캘리포니아주는 1㎾당 1천460달러, 뉴욕주는 1㎾당 2천100달러의 상업용 ESS 설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LG화학은 앞서 2010년 캘리포니아 최대 전력회사인 SCE에 가정용 ESS 배터리를 공급하면서 북미 시장에 진출했다.
2013년에는 SCE가 캘리포니아 테하차피 풍력발전소에 건설한 북미 최대 규모(32㎿h)의 신재생에너지 안정화용 ESS 배터리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LG화학 권영수 전지사업본부장은 "전기차 배터리 등 2차 전지 분야에서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최대 규모인 북미 상업용 ESS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기회를 잡게 됐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