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이 제시하는 '저성장 위기 10가지 징후'
"20년전 일본과 닮아…신산업·신시장 창출 등 경제체질 강화 필요"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4-23 11:00:06
전경련이 제시하는 '저성장 위기 10가지 징후'
"20년전 일본과 닮아…신산업·신시장 창출 등 경제체질 강화 필요"
(서울=연합뉴스) 고웅석 기자 =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최근 3.1%로 하향조정한 가운데,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3일 우리 경제의 저성장 위기를 경고하는 10가지 징후를 제시했다.
전경련의 '한국경제 3% 성장, 위기 징후'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 경제는 1980년∼1990년대 연평균 9%대의 높은 성장률을 나타냈으나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5%대로 하락했고 2011년부터는 세계 평균에 미달하는 2∼3%대 저성장에 갇혀 있는 상황이다.
전경련은 국내총생산(GDP) 지출 4요소(소비, 투자, 정부지출, 순수출)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저성장 위기의 10가지 징후를 차례로 짚으며 경제체질의 강화를 주문했다.
1번째 징후로는 민간소비 측면에서 2012년 하반기부터 소비자물가가 0∼1%로 낮아 가계의 실질구매력은 올랐는데 소비성향은 하락하고 있는 점을 꼽았다. 소득증가율이 5∼6%대로 높았던 2011년과 2012년에도 소비성향은 오히려 총 3.2%p 하락했다고 전경련은 분석했다.
2번째 징후로는 총소비 3분의 1을 담당하는 고소득층의 최근 5년간 소비증가율이 연 3.1%에 그쳐 전보다 소비에 소극적인 모습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3번째로는 60세 이상 고령층의 취업과 소득이 빠르게 느는데 소비성향은 하락하는 등 고령층이 대표적인 소비계층에서 저축계층으로 바뀌고 있는 점을 들었다.
또 총투자 증가율이 추세적으로 낮아져 GDP 대비 비중이 1996년 43.5%로 정점을 찍은 후 2014년 28.9%까지 떨어지는 등 투자의 양적 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점을 4번째 징후로, 신제품 생산과 설비확장을 위한 '생산능력확충' 투자 비중은 감소한 반면 '유지보수' 비중은 늘고 있는 점을 5번째 징후로 꼽았다.
6번째로는 우리나라 GDP 대비 연구개발(R&D) 비중은 세계 1위로 양적으로 풍부하지만 약 3분의 2가 반도체·전자·자동차 3개 산업에 편중돼 있고, 서비스 R&D 비중은 OECD 24개국 중 최하위라는 점을 지적했다.
7번째는 국가채무가 1997년 60조3천억원에서 2014년 527조원으로 급증하는 등 나랏빚이 무섭게 늘어난 점, 8번째는 재정건전성 판단지표인 '관리재정수지'는 작년 29조5천억원 적자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고, '통합재정수지'는 세입·세출 증가율 불균형으로 2021년부터 적자가 이어질 전망이라는 점이 제시됐다.
9번째는 10대 수출품목이 10위권에 오른지 평균 22년 이상 이어지는 등 신산업이 태동해 주력산업으로 성장하지 못하는 정체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점, 10번째는 수출물가는 하락했는데 수출물량은 크게 늘어나는 현상이 관측되는 등 수출채산성이 악화된 점이 꼽혔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한국경제가 추락하는 모습은 일본의 20년 전 불황 초입과 꼭 닮았다"며 "금리인하, 확대재정 정책 등 전통적인 경기부양책으로는 저성장을 탈출하기에 역부족이다. 근본적으로 신산업·신시장 창출·노동시장 효율성 향상 등 경제체질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