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잘 날 없는 부산 동물원 '더파크' 애물단지될라
부실공사 논란에 이어 산림 무단훼손·유착 의혹까지
부산시 500억원 채무보증까지 서놓고 '수수방관'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4-16 13:25:06
△ 부산 유일 동물원 삼정더파크, 무단 벌목 의혹
(부산=연합뉴스) 김선호 기자 = 부산환경운동연합이 부산 유일의 동물원 '삼정 더파크(이하 더파크)' 내 개발이 보류된 임야에서 상당량의 나무가 무단으로 벌목됐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사진은 부산환경운동연합이 동물원 내 2차 부지에서 의혹을 제기한 벌목 현장의 현재 모습. 2015.4.14 << 부산환경운동연합 제공 >>
wink@yna.co.kr
바람잘 날 없는 부산 동물원 '더파크' 애물단지될라
부실공사 논란에 이어 산림 무단훼손·유착 의혹까지
부산시 500억원 채무보증까지 서놓고 '수수방관'
(부산=연합뉴스) 신정훈 기자 = 부산시가 500억원 규모의 빚보증까지 선 끝에 겨우 문을 연 부산 유일의 동물원 '삼정 더 파크'가 부실공사 논란 등으로 홍역을 치른 데 이어 이번에는 공사과정에서의 무단 산림훼손 의혹까지 제기돼 '애물단지'로 전락할 위기에 놓였다.
더 파크가 부실화하면 부산시는 민간시행사가 은행권으로부터 공사비 등 명목으로 빌린 500억원의 채무를 고스란히 떠안아야 한다.
지난해 4월 더 파크가 개장하기 전만 해도 부산에는 어린이가 아빠, 엄마 손을 잡고 동물을 구경할 수 있는 곳이 한 곳도 없었다.
그랬기에 더 파크에 대한 부산시민의 기대가 컸다.
하지만 개장 후 지금까지 더 파크는 '바람 잘 날 없는 동물원'으로 계속 추락하고 있다.
더 파크 조성과정과 문제점이 뭔지 되짚어 본다.
부산시 부산진구 초읍동 성지곡수원지 일원에 조성된 더 파크의 시작은 200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국내 최초의 테마파크형 동물원'을 내걸고 2005년 9월부터 공사가 시작됐다.
하지만 시공사 부도로 공사가 한때 중단됐다.
이어 애초 부산시에서 내줬던 동물원 조성 인가와 설계에 반영됐던 6종의 유기시설, 사파리 형 동물원 운영을 위한 천연가스 버스 충전소가 관련 법에 저촉된다는 사실이 뒤늦게 발견돼 수차례 설계를 변경했다.
잘못된 부산시 인가와 설계를 바로 잡는 과정에 또 공사가 중단됐고, 공사비도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결국, 민간사업자가 자금난에 처해 2010년 10월부터는 공사가 아예 중단됐다.
동물원 조성사업이 좌초하자 부산시는 2012년 동물원 시설공사 마무리를 위해 외상 공사를 해줄 삼정이라는 지역건설업체를 끌어들였다.
그리고 시행사, 외사공사를 자처한 삼정과 '3자 간 동물원 더 파크 사업 정상화를 위한 업무협력 협약'을 맺고 공사를 재개하도록 했다.
이 과정에서 시는 '동물원 완공 후 사업자가 요구하면 감정평가 등의 절차를 거쳐 500억원 안에서 소유권을 살 수 있다'라는 규정이 포함된 '동물원 사업 정상화를 위한 협약 동의안을 시의회에 제출하고, 동의를 받았다.
부산은행은 이 협약을 근거로 시행자에게 추가 공사비 등 500억원을 빌려줬다.
사실상 부산시가 민간사업에 개입해 '500억원짜리' 빚보증을 선 셈이다.
채무보증 이후 부산시는 동물원 공사와 관련한 전 과정을 관리 감독하는 듯했다.
하지만, 부산시의 관리 감독은 결과적으로 부실했다.
이상한 점은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부실공사 등 동물원 현장의 문제점이 제기됐는데도 부산시는 땜질식 점검으로 일관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지난해 개원 이후 애초 시행사와 외상 공사를 했던 삼정 간 동물원 운영권을 둘러싼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데도 담 넘어 불구경하듯 내버려뒀다.
현재 삼정 더 파크란 이름에서 보듯 동물원 운영은 이상하게도 지역사회공헌 차원에서 외상 공사를 해 주겠다며 이 사업에 참여했던 삼정 측이 맡고 있다.
삼정 측은 공사비만 정산되면 언제든지 떠나겠다고 하지만, 원 시행자에게 예정 공사비보다 훨씬 많은 돈을 요구해 양측이 갈등을 빚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무단 삼림훼손 문제도 의문투성이이다.
이미 지난해부터 수차례 부산시에 관련 사실이 제보됐음에도 훼손면적조차 파악하지 못하는 등 특혜의혹을 넘어 유착의혹마저 제기되고 있다.
부산시는 지난해 말 산림 무단벌목과 관련해 현장점검을 하고서도 무슨 이유에서 인지 그대로 덮었다.
특히 부산환경운동연합 등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가 지적했듯이 산림 훼손지에 시유지가 상당 부분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더 파크의 산림훼손행위는 물론 부산시의 묵인 또는 방조의혹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는 더 파크와 부산시에 대한 감사원 감사를 요청하고, 더 파크에 대해선 사법기관에 산림법 등 위반 혐의로 고발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