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前회장 숨진 채 발견…자원외교 수사 급제동(종합3보)
실종신고 7시간여 만에 북한산서 경찰견이 찾아…"어머니 묘소에 묻어달라"
檢, 성 전 회장 관련 수사 중단…자원외교 비리 의혹은 계속 수사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4-09 22:32:18
△ 실려나오는 성완종 전 회장 시신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9일 오후 북한산 형제봉 매표소 인근에서 숨진 채 발견된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시신을 경찰 관계자들이 옮기고 있다. 성 전 회장은 자원외교 비리 의혹에 연루돼 사전 구속영장이 청구된 상태였다. 2015.4.9
mon@yna.co.kr
성완종 前회장 숨진 채 발견…자원외교 수사 급제동(종합3보)
실종신고 7시간여 만에 북한산서 경찰견이 찾아…"어머니 묘소에 묻어달라"
檢, 성 전 회장 관련 수사 중단…자원외교 비리 의혹은 계속 수사
(서울=연합뉴스) 안희 구정모 설승은 기자 = 자원외교 비리 의혹에 연루돼 사전 구속영장이 청구된 성완종(64) 전 경남기업 회장이 영장 실질심사 당일인 9일 유서를 쓰고 잠적한 후 북한산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성 전 회장의 사망으로 검찰이 부패척결의 첫 타깃으로 삼았던 자원외교 비리 수사는 상당한 차질이 예상된다.
경찰에 따르면 성 전 회장은 이날 오후 3시32분께 북한산 형제봉 입구 북악매표소에서 등산로를 따라 200m가량 떨어진 지점에서 산속으로 30m 더 들어간 곳에서나무에 목을 매 숨져 있는 것을 경찰 증거채취견이 발견했다.
증거채취견 '나로'는 가족이 제공한 성 전 회장 의복의 냄새를 맡은 뒤 그가 평소 자주 다니는 곳으로 알려진 형제봉 등산로에 투입돼 수색한 끝에 성 전 회장을 찾았다.
발견됐을 때 성 전 회장의 모습은 집을 나설 당시 그대로였다. 경찰이 위치를 추적한 휴대전화 한 대는 시신에서 약 10m 떨어진 곳에, 나머지 한 대는 윗옷 주머니에 있었다.
경찰은 정확한 사망 추정 시간을 확인하지 못했으나 오전 중에 숨진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폐쇄회로(CC)TV 확인 결과 성 전 회장은 이날 오전 5시11분께 흰색 모자와 검은색 패딩점퍼, 검은색 바지 차림으로 강남구 청담동 자택 인근 리베라호텔 앞에서 택시를 타고, 오전 5시33분께 북악매표소에 도착한 뒤 종적을 감췄다.
오전 7시30분께 성 전 회장의 자택에 도착한 운전기사는 성 전 회장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오전 8시6분께 112에 가출 신고를 했고, 재차 아들이 6분 뒤 청담파출소에 신고했다.
성 전 회장이 혼자 살아온 자택에서 발견된 유서에는 '서산에 있는 어머니 묘소에 묻어 달라'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극단적 선택에 이른 자신의 심경을 토로한 부분도 담겨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성 전 회장의 휴대전화 위치 추적 결과 서울 종로구 평창동 부근에서 기지국 신호가 특정됨에 따라 경찰력 1천400여명과 수색견, 헬기 등을 투입해 이 일대에서 수색을 벌였다.
경찰은 유족을 상대로 성 전 회장의 사망 동기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성 전 회장은 2006∼2013년 5월 회사 재무상태를 속여 해외 자원개발 사업에 지원되는 정부융자금과 금융권 대출 800억여원을 받아내고 관계사들과 거래대금을 조작해 250억원가량의 회삿돈을 횡령한 혐의로 사전 구속영장이 청구된 상태였다.
영장 실질심사는 이날 오전 10시30분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릴 예정이었다.
검찰은 성 전 회장의 사망 소식이 전해진 후 자원외교 비리 의혹 수사를 지휘하는 서울중앙지검 3차장 검사를 통해 "불행한 일이 발생해 안타깝다"면서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족에게 조의를 표한다"고 밝혔다.
검찰은 자원외교 비리 의혹 사건 중 성 전 회장과 관련된 부분에 대한 수사는 사실상 중단하기로 했다. 경남기업 측이 광물자원공사 등 자원공기업과 금융당국, 정치권 등에 로비를 했다는 의혹 등은 더이상 수사가 진전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대체로 수사를 마무리한 경남기업의 분식회계 및 융자금·대출 사기 부분도 성 전 회장의 장례절차가 끝난 뒤 기소 여부와 대상자 등을 선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검찰은 성 전 회장이나 경남기업과 무관한 자원외교 비리 의혹에 대해서는 수사를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검찰 관계자는 "광물자원공사 비리 의혹 뿐 아니라 자원외교 비리는 국가 재정이나 국민경제에 큰 부담을 주는, 국민적 관심이 큰 사안이라 흔들림 없이 수사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