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총장 선출시 이사회 권한 줄이는 개선안 마련
지난해 학내 내분 계기…"총추위가 순위 정해서 이사회에 후보 추천"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4-02 16:27:31
△ 서울대 총장 선출 제도 개선을 위한 공청회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2일 서울대 관악캠퍼스 근대법학교육 100주년 기념관에서 열린 '총장 선출 제도 개선을 위한 공청회'.
'총장선출제도 평가 및 개선 연구팀'은 이날 공청회에서 총장추천위원회가 후보를 추천할 때 우선순위를 정하고 이사회에서 이를 최대한 존중하도록 권고한다는 안을 내놓았다.
서울대 총장 선출시 이사회 권한 줄이는 개선안 마련
지난해 학내 내분 계기…"총추위가 순위 정해서 이사회에 후보 추천"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지난해 첫 간선제 총장 선출 당시 교직원 평가에서 최고득점을 받은 후보를 이사회가 떨어뜨려 잡음이 일었던 서울대가 총장 선출 과정에서 이사회의 권한을 줄이는 방안을 마련했다.
서울대는 2일 관악캠퍼스 근대법학교육 100주년 기념관에서 '총장 선출 제도 개선을 위한 공청회'를 열어 총장추천위원회(총추위)가 후보를 추천할 때 우선순위를 정하고 이사회에서 이를 최대한 존중하도록 권고한다는 안을 내놓았다.
서울대는 2011년 법인으로 전환되면서 총장 선출 방식이 직선제에서 이사회가 결정권을 가진 간선제로 바뀌었다.
총추위가 예비 후보자 5명을 선정하고 교직원으로 구성된 '정책평가단'이 이들의 정책을 평가하면 총추위는 총추위원과 정책평가단 점수를 합산해 다득점자 3명을 순위 없이 이사회에 추천, 이사회가 최종 결정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6월 이사회는 최종 후보 3명 중 최고득점자가 아닌 후보를 총장으로 결정했다. 규정상 문제가 되진 않지만 학내에서는 이사회가 구성원들의 의견을 무시했다는 반발이 일었다.
실제로 서울대 정치커뮤니케이션센터가 지난 3월 6∼24일 교수 842명, 직원 40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현행 총장선출제도의 문제를 묻는 문항에 '학내 구성원의 의사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다'(교수 73%, 직원 82%·복수응답)는 답변이 가장 많이 나왔다.
이에 학교 측은 지난해 11월 '총장선출제도 평가 및 개선 연구팀'을 꾸리고 개선안을 마련했다.
연구팀은 개선안에서 총추위가 이사회에 후보를 추천할 때 1∼3순위를 정하게 했다. 이사회에서 쉽사리 우선순위 후보를 배제할 수 없을 거란 판단에서다.
총추위원 구성은 '전체 위원 25∼30명 중 이사회가 3분의 1 이내를 추천하고 나머지는 평의원회가 추천'하는 현행 정관을 '평의원회가 추천하되 이사회 추천 인사를 3명 이상 포함'으로 바꾸는 안을 제시했다.
또 이사회에 총장 선출 과정에 대한 자체 규정을 사전에 정하고 최종 결과를 학내 구성원에게 설명해달라고 권고하기로 했다.
연구팀은 개선안에 대한 구성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뒤 연내 최종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총학생회 직무대행 단과대학생회장연석회의는 공청회 시작 전 공청회장 앞에서 "학교가 학생들과의 논의 절차 없이 일방적으로 개선안을 마련했다"고 피켓시위를 벌였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