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민을 시혜 대상 아닌 평등한 주체로 바라봐야"

다문화가족지원센터협회 토론회서 한목소리로 지적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3-26 16:46:08

"이주민을 시혜 대상 아닌 평등한 주체로 바라봐야"

다문화가족지원센터협회 토론회서 한목소리로 지적



(서울=연합뉴스) 고현실 기자 = 26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다문화가족정책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과도한 이주민 시혜 정책이 외국인 혐오를 부추기고 있다며 이주민을 시혜 대상이 아닌 주체로 바라보고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현미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교수는 이날 한국다문화가족지원센터협회가 주최한 '한국 다문화가족정책 패러다임 변화와 대안 모색' 주제의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서 이주민을 약자이자 시혜 대상으로 보는 태도가 이주민에 대한 편견과 혐오를 부채질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다문화가족 전체를 취약 계층으로 보면서 정부의 손쉬운 복지정책 대상이 됐고, 그 과정에서 역차별 논란이 일어나 외국인 혐오가 불거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쪽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이 정교하게 발달하는 반면, 정작 일터와 시민사회 등 공적인 영역 전반에서 다문화 감수성을 증진하려는 노력은 부족하다"며 시혜 위주로 흐르는 정부의 다문화정책을 비판했다.

김 교수는 이주민을 한국 사회에 일방적으로 동화시키려는 자세에서 벗어나 그들의 주체성을 인정하면서 "이주민과 선주민이 상호작용을 통해 영향을 주고받는, 공정한 통합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성미경 전 아시아이주여성다문화공동체마을 촌장도 "2000년대 중반 다문화정책 가동 후 오히려 외국인 혐오가 늘어난 것은 이 정책의 효율성을 의심케 한다"며 이주민에 대한 선별적 복지가 전체 이주민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더욱 부추기는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고 꼬집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각종 시민단체의 일방적인 선심성 정책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중국 출신 결혼이주여성 이민 씨는 "겉으로는 다문화가족이 많은 혜택을 받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인 지원사업 내용을 들여다보면 일회용이나 보여주기식 행사가 대부분이었다"고 불만을 털어놓았다.

이 씨는 "우리가 원하지도 않은 무조건적인 지원정책은 외국인 혐오증을 불러왔고, 이주민들에게 상실감과 심리적 위축을 불러왔다"며 "이주민을 더 이상 수혜자로 보지 말고 당당한 사회 구성원으로 봐달라"고 당부했다.

이밖에 참석자들은 '퍼주기식' 복지정책에서 벗어나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이주민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상황에 맞춰 세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한국다문화가족지원센터협회는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모임으로 지난 2012년 정식 출범했다. 전국 217개 센터 가운데 120여 개 센터가 회원으로 소속돼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