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방적인 대학구조조정은 인문학 황폐화 초래"(종합)

인문학 진흥 심포지엄…황우여 "인문학 지원 약화시키지 않겠다"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3-24 17:00:26

"일방적인 대학구조조정은 인문학 황폐화 초래"(종합)

인문학 진흥 심포지엄…황우여 "인문학 지원 약화시키지 않겠다"



(세종=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최근 대학가에서 인문학 위기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교육부가 대학의 구조조정보다 자발적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혜숙 이화여대 철학과 교수는 24일 오후 교육부가 서강대에서 개최한 인문학 진흥 종합심포지엄에서 인문대의 교육과정 개선과 인문학 육성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발표에서 "교육부나 대학 당국의 일방통행식 구조조정은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어렵고 인문학과 인문대학의 황폐화 내지 급작스런 위축을 초래할 것"이라며 "장기적 관점에서 인문학 위축이 가져올 사회적 결과는 심대하다"고 우려했다.

이어 인문대 변화를 위한 활발한 공론의 장(場)이 열려야 한다며 "교육부는 대학들이 공론의 장을 만들도록 장려함으로써 불필요한 갈등과 쟁투로 인한 낭비를 줄이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대학 구조조정은 인문학의 성장을 위협하는 방식으로 이뤄져서는 안 되고 오히려 인문학의 건실한 성장과 새로운 형식의 실험이 이뤄지는 방향으로 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인문대가 나아갈 교육과정 변화의 방향으로 전문성을 강화한 인지과학, 영상인문학, 디지털인문학 등 여러 전공을 결합한 융합전공을 제시했다.

한호 아주대 영어영문학과 교수도 인문계 학생의 취업역량 강화를 위해 융복합 전공을 다양하게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한 교수는 인문계 학생들에게 취업연계성이 큰 복수전공 이수를 권장도록 하고 디지털 휴머니티, 지역학, 문화산업 등 융복합 전공 개발과, 소프트웨어에 관한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등을 강조했다.

또 강영안 서강대 철학과 명예교수는 "대학은 인문학적 지식의 발전소"라고 규정하고 "그 원천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젊은 학자들이 안정적인 연구를 할수 있도록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인사말을 통해 인문학에 대한 지원을 줄이지 않겠다고 밝혔다.

황 부총리는 "모든 학문의 수난 속에서도 인문학적 기초가 탄탄해야 모든 학문이 제자리를 찾는다"며 "인문학이 어떤 환경에서 위축된다면 그것은 너무 큰 손실이고 방향에 큰 잘못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교육부는 그동안 해온 인문학에 대한 지원책을 강화할지언정 약화시키지 않겠다고 약속드린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이날 심포지엄을 비롯해 학계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한 인문학 진흥 종합방안을 마련해 오는 6월 중 발표할 예정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