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 한국다문화가족지원센터협회 신숙자 회장(종합)

"다문화가족정책은 국가 백년대계…나눔과 공존이 희망"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3-24 16:16:27

△ 한국다문화가족지원센터협회 신숙자 신임회장 (서울=연합뉴스) 고현실 기자 =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모임인 한국다문화가족지원센터협회의 신숙자 신임회장. 신 회장은 오는 26일 취임식을 갖고 2년간의 임기를 시작한다. 2015.3.24 okko@yna.co.kr

한국다문화가족지원센터협회 신숙자 회장(종합)

"다문화가족정책은 국가 백년대계…나눔과 공존이 희망"



(서울=연합뉴스) 고현실 기자 = "국가 백년대계인 가족지원정책은 정권이나 지자체장이 바뀌어도 일관되게 추진하면 좋겠습니다."

한국다문화가족지원센터협회(이하 한다협)의 신숙자(57) 4기 신임 회장은 지난 23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며 다문화가족정책의 일관성을 주문했다.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목소리를 대표하는 그는 정책 추진 과정에서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달라며 "다문화가족을 포함해 국민이 정책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여성가족부의 지원 아래 다문화가족의 사회 적응과 안정적인 생활을 돕는 기관으로 각종 교육 및 상담, 문화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2006년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란 이름으로 전국 20여 곳에서 출발해 현재 210여 곳에 달한다. 결혼이주자가 2006년 9만 명에서 지난해 15만 명으로 늘어난 결과다. 2012년 정식 출범한 한다협에는 현재 120여 개 센터가 속해 있다.

강화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도 겸임하는 신 회장은 "결혼이민자지원센터가 만들어지던 10년 전만 해도 다문화가족 지원체계가 없어 정책이나 제도만 있으면 모든 게 해결될 줄 알았다"라 "지금와서 보니 더 중요한 건 인식이었다"라고 돌아봤다.

대학교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어린이집 교사를 하던 신 회장은 강화군으로 거처를 옮긴 뒤 1990년대 중반 시민단체에서 성폭력과 가정문제 상담을 시작하면서 이주여성들의 고된 현실에 눈을 떴다.

그는 "이주여성들을 상담하며 보니 얼굴에 아무런 느낌이 없더라"라며 "몸은 여기 있지만 마음은 다른 곳에 있는 것 같았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이후 신 회장은 강화군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를 거쳐 강화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을 맡으면서 10년 가까이 다문화가족지원 사업을 꾸려오고 있다.

현장에서 다문화가족을 만나며 그는 "공존 만이 희망"이라는 생각을 잊어본 적이 없다고 했다. 하지만 현실은 생각과 달랐다.

"결혼이주여성들을 한국을 선택해서 새로운 삶에 도전한 여성들이에요. 하지만 그런 여성들의 주체성을 제대로 인정해주지 않는 게 우리의 현실이죠. 결혼이주자에 대한 거부감을 부채질하는 순혈주의도 허상일 뿐이에요. 오랜 문물 교류와 외세의 침략을 겪으면서 역사적으로 우리는 이미 순혈주의가 아니에요."

인식의 변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이 중요하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정책을 만드는 데 그치지 말고 꾸준히 유지하고 발전시켜야 하는데 다문화가족정책이 점점 축소되는 게 안타까워요. 다문화가족을 시혜 대상으로만 보지 말고, 국민 통합의 틀 안에서 '샐러드볼'처럼 잘 섞이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나눔을 함께 한다면 충분히 공존하면서 살 수 있어요."

하지만, 정부가 추진하는 건강가정지원센터와 통합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반발을 불러오고 있다.

여성가족부는 복지 업무의 중복·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지난해 한부모 가정과 탈북자 가족 등을 지원하는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통합을 추진하며 통합센터 10곳을 시범 운영했다.

신 회장은 "통합을 추진하며 다문화가족 사업을 필수가 아닌 선택 사항으로 하는데 다른 지원 대상과 똑같은 선상에 놓다 보면 다문화가정이 소외될 가능성이 크다"라며 "적어도 향후 10년까지는 약자를 더 배려하는 차원에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센터 종사자들의 열악한 처우를 개선하는 것도 현안 중 하나다.

현재 대부분의 센터는 예산이 부족하다 보니 종사자들에게 정해진 호봉대로 급여를 줄 수 없고, 상여금이나 초과근무수당은 꿈도 꿀 수 없는 형편이다. 근무환경이 열악하다 보니 이직률도 높다.

신 회장은 "언어치료사들의 급여가 7년 만에 겨우 5만 원이 올랐다"라며 "직원들의 희생만 강요하는 현 체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급여부터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일부에서는 센터가 단기적인 성과나 보여주기식 프로그램에 치중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신 회장은 "프로그램을 더 다듬을 필요가 있지만, 센터가 인권·복지·문화·교육 등 다문화가족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온 만큼 앞으로도 그래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소신을 밝혔다.

한다협은 오는 26일 회장단 이·취임식과 함께 한국의 다문화가족정책을 주제로 토론회를 연다. 이 자리에서 정책의 변화와 대안을 모색하는 의견들이 오갈 것으로 보인다.

신 회장은 정부 정책의 문제로 다원화된 지원체계를 꼽으며 "법무부와 교육부 등 각 부처가 관심을 갖고 나서는 것도 좋지만 정책의 효율성을 위해 범정부적인 논의 체계를 만들면 좋겠다"는 희망을 표시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