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씨앗' 선종성 용종 환자, 중장년층 남성이 절반

선종성 용종 전체 진료환자 5년간 1.9배 증가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3-22 12:00:23

△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큰 선종성 용종 환자의 절반이 40∼60대 중장년층 남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사진은 지난해 대장항문학회 주최로 열린 '골드 리본 캠페인'에서 의사들이 대장 조형물에 들어가 용종 모형을 제거하고 있는 모습<<연합뉴스 자료사진>>

'대장암 씨앗' 선종성 용종 환자, 중장년층 남성이 절반

선종성 용종 전체 진료환자 5년간 1.9배 증가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큰 선종성 용종 환자의 절반은 40~60대 중장년층 남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분석한 '선종성 용종' 자료를 보면 진료환자는 2008년 6만7천742명에서 2013년 12만9천995명으로 5년간 약 1.9배 늘었다.

진료인원이 늘면서 건강보험 진료비도 2008년 약 186억원에서 2013년 약 360억원으로 늘었고 건보공단이 부담하는 급여비는 2008년 약 120억원에서 2013년 약 228억원으로 증가했다.

2013년 기준 성별·연령별 선종성 용종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남성은 50대(2만8천814명), 60대(2만2천923명), 40대(1만4천088명) 순으로 많았고 여성도 50대(1만7천279명), 60대(1만3천588명), 40대(6천712명) 순이었다.

특히 40~60대 남성 진료인원은 모두 6만5천825명으로, 전체 진료인원의 50.6%에 이르는 수치다.

선종성 용종은 대장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신생물성 용종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용종이다. 대장암의 95%가 선종에서 발생한다.

선종성 용종의 약 10%는 서서히 대장암으로 진행해 선종 발생 후 암 증상을 보일 때까지 약 5~10년 정도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부분의 선종성 용종은 내시경 검사중 도구를 이용해 제거할 수 있고 크기가 크거나 암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다.

선종성 용종 환자가 증가한 데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는 일이 많아진데다, 식생활의 서구화, 고령층 인구 증가 등이 영향을 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조용석 교수는 "40대 이후 정기적인 대장내시경 검사를 해 용종을 제거해주면 대장암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국가검진사업의 분별 잠혈검사결과, 양성 판정을 받는다면 대장내시경 검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그는 조언했다.

그는 "술과 담배를 피하고 비만에 주의하며, 식이섬유와 채소, 칼슘 등을 충분히 섭취하는 게 좋다"고 당부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