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자금 3천만달러 가져간 경남기업 어떤 사업 투자했나(종합)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3-19 20:09:57

△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동 경남기업 본사(연합뉴스 자료사진)

융자금 3천만달러 가져간 경남기업 어떤 사업 투자했나(종합)



(서울=연합뉴스) 서혜림 기자 = 검찰이 자원외교비리 수사의 첫 타깃으로 경남기업을 정조준한 가운데 이 업체가 정부의 '성공불융자금 제도'를 이용해 투자한 해외 자원개발 사업들에 관심이 모아진다.

19일 법조계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경남기업은 총 8개 해외 자원개발 사업과 관련해 3천162만 달러(350억여원)의 성공불융자금을 지원받았다. 지급 시기는 1998년에서부터 2008년까지 분산돼 있다.

검찰이 가장 먼저 들여다보는 사업은 경남기업이 2005∼2010년 참여한 러시아 캄차카 반도의 티길 광구, 2006년∼2011년 참여한 이차 광구 사업이다.

경남기업은 티길 사업을 명목으로 460만 달러를, 이차 사업을 명목으로 230만 달러를 각각 융자받았다. 이들은 석유 탐사 및 발굴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경남기업은 또 카자흐스탄 사우스카르포브스키 사업을 위해서도 370만 달러를 빌렸다. 2006년 시작해 지난해 종료된 이 사업 역시 석유개발 프로젝트다.

경남기업은 미국 멕시코만에 매장된 가스를 개발하기 위한 사업 4건에도 참여했다.

다이아몬드·에메랄드·골드·플래티넘 사업으로 각각 이름 붙여진 이들 사업은 2008년에 일제히 시작됐다.

경남기업은 각각의 사업에 43만∼940만 달러를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1998년 시작돼 20년 가까이 계속되고 있는 아제르바이잔 이남 지역의 석유 개발 사업과 관련해서는 470만 달러를 융자받았다.

8건 중 3건은 종료됐고, 5건은 진행 중이다. 한국석유공사도 이들 사업 모두에 투자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

│사업명│사업연도│융자액(약)│ 발굴 목표 자원 │

││ (계약 기준)│││

├─────────┼───────┼────────┼────────┤

│러시아 캄차카 이차│ 2006~2011년│230만 달러│석유│

│(Icha)│(종료)│││

├─────────┼───────┼────────┼────────┤

│러시아 캄차카 티길│ 2005~2010년│460만 달러│석유│

│(Tigil)│(종료)│││

├─────────┼───────┼────────┼────────┤

│카자흐스탄│ 2006~2014년│370만 달러│석유│

│사우스카르포브스키│(종료)│││

├─────────┼───────┼────────┼────────┤

│미국 멕시코만 심해│ 2008년~현재│940만 달러│가스│

│다이아몬드││││

├─────────┼───────┼────────┼────────┤

│미국 멕시코만 심해│ 2008년~현재│350만 달러│가스│

│에메랄드││││

├─────────┼───────┼────────┼────────┤

│미국 멕시코만 심해│ 2008년~현재│43만 달러│가스│

│골드││││

├─────────┼───────┼────────┼────────┤

│미국 멕시코만 심해│ 2008년~현재│270만 달러│가스│

│플래티넘││││

├─────────┼───────┼────────┼────────┤

│아제르바이잔 이남 │ 1998년~현재│470만 달러│석유│

│(Inam)││││

└─────────┴───────┴────────┴────────┘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