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84% "대기업 아웃렛 입점후 매출 반토막"

정부지원책으로 입점규제와 의무휴업제 등 꼽아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3-19 12:00:00

中企 84% "대기업 아웃렛 입점후 매출 반토막"

정부지원책으로 입점규제와 의무휴업제 등 꼽아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대형 유통업체의 아웃렛 진출로 인근 패션 중소기업의 매출이 절반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패션 중소기업 202개를 대상으로 '대기업 아웃렛 입점에 따른 지역상권 영향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아웃렛 입점 후 인근 패션 중소기업의 84.2%가 매출이 감소했다고 답했다고 19일 밝혔다. 반면 증가했다는 업체는 소수(1.0%)에 불과했다.

이들 업체의 매출 감소폭은 평균 43.5%였다.

대기업 아웃렛이 지역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됐는지에 대해 많은 업체가 도움이 안 됐다(76.7%)고 답했으며, 그 이유로 대기업의 상권독점(66.6%)과 매출 흡수에 따른 지역상인의 시장 퇴출(27.7%) 등을 꼽았다.

대기업 아웃렛의 장점으로 마케팅 및 광고능력(47.5%)이라고 답한 업체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편의시설(20.3%), 다양한 종류의 상품(14.4%), 저렴한 가격(7.4%) 등의 순으로 답했다.

동일 브랜드의 아웃렛 입점 여부에 대해서 입점하지 않았다(57.9%)고 답한 업체가 입점했다(42.1%)보다 많았다.

그러나 아웃렛 입점에 따른 대응방안으로는 응답업체의 과반수가 없다(56.4%)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있다(43.6%)고 답한 업체의 경우 홍보 및 마케팅 증대(20.3%), 가격인하(13.4%), 업종전환(4.0%), 휴·폐업(4.0%) 등을 대응방안으로 꼽았다.

대기업의 아웃렛 진출에 따른 정부의 지원책으로는 가장 많은 기업이 입점규제(40.1%)라고 답했고, 이어 대·중소기업의 상생방안 마련(26.7%), 자금·판로 등 지원정책 확대(15.3%), 아웃렛 의무휴업제 및 영업시간 제한(8.4%) 등이 뒤따랐다.

김정원 소상공인정책실장은 "최근 대형 유통업체들이 대형마트와 백화점의 성장정체를 타개하기 위해 아웃렛을 확대하고 있다"며 "이 때문에 중소 아웃렛과 인근 패션 중소기업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어 사업영역 보호를 위한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