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 뉴스통신사들, 정부지원 앞서 차별화 전략 찾아야"
언론학회 세미나에서 김사승 교수 등 제안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3-11 21:54:24
△ "민영 뉴스통신사들, 정부지원 앞서 차별화 전략 찾아야"
(서울=연합뉴스) 11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한국언론학회 주최로 열린 '미디어 혁명시대, 한국 뉴스통신사의 위상과 발전 방안 모색' 세미나에서 김영욱 카이스트 미래전략대학원 교수(오른쪽)가 사회를 보고 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국내의 협소한 뉴스통신 시장에 뒤늦게 뛰어든 민영 뉴스통신사들이 독자적인 차별화 전략도 없이 정부 지원에 기대려고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왔다. 왼쪽부터 김신동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심영섭 한국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강사.
"민영 뉴스통신사들, 정부지원 앞서 차별화 전략 찾아야"
언론학회 세미나에서 김사승 교수 등 제안
(서울=연합뉴스) 유현민 기자 = 국내의 협소한 뉴스통신 시장에 뒤늦게 뛰어든 민영 뉴스통신사들이 독자적인 차별화 전략도 없이 정부 지원에 기대려고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사승 숭실대 교수는 11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언론학회(회장 심재철) 주최 세미나에서 국가기간통신사인 연합뉴스와 후발 민영 통신사인 뉴시스, 뉴스1이 비슷한 상품으로 경쟁하고 있는 현재의 국내 뉴스통신 시장을 '동질적 과점 체제'로 규정하며 이같이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민영 통신사들이) 상품을 이질화하지 않고 구조적인 요인으로 문제를 돌리면서 정부에 지원을 바란다면 어느 국민이 이를 받아들이겠느냐"면서 "신규 사업자가 자기 포지셔닝이 제대로 안 된 상태에서 시장에 진입했다면 그 자체로 자격이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또 "신규 시장 진입자의 책임에 해당하는 문제를 정부 지원 문제로 돌린다면 논의의 초점이 다른 데로 갈 것"이라면서 "결국 경쟁이 격화한 뉴스통신 시장 구조에서 생존 문제는 차별화와 같은 행위를 통해 풀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도 "3개 뉴스통신사의 기사를 다 전재해도 고객사에 도움이 된다고 할 정도로 차별성이 필요하다"면서 "연합뉴스가 국내에서 종합뉴스통신사로서 위상을 더 강화하고 해외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는 동시에 뉴시스와 뉴스1은 정치, 사회, 문화 등 한두 가지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는 구도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영재 한림대 교수는 "뉴스1의 경우 한국일보 출신 기자들을 주축으로 정치, 사회 쪽에서 수준 높은 기사를 내보내고 있고 뉴시스도 사진 쪽에 강점을 갖고 있다"면서 "그런데도 여전히 정체성 문제를 안고 있어 왜 이런 시장에 뛰어들었는지 의구심이 생긴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이어 정부가 연합뉴스에 지급하는 `공적기능 보전금'과 관련, "영어권 뉴스통신사가 아니면 글로벌 뉴스시장에서 정부 지원 없이 자리잡기 어렵다"면서 "AP나 로이터는 영어권 통신사여서 독자 생존이 가능하지만 프랑스어권인 AFP는 살아남을 수 없어 정부의 공적 지원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이들 교수가 비슷한 취지로 발언한 내용은 이번 세미나에 발제자로 참석한 김신동 한림대 교수의 주장과 초점을 달리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김 교수는 토론에 앞서 "뉴스통신사에 대한 정부 지원이 연합뉴스에 집중돼 공정한 시장 경쟁을 교란한다"면서 "뉴스통신 시장의 다변화와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을 위해 뉴스통신진흥법 개정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미디어 혁명시대, 한국 뉴스통신사의 위상과 발전 방안 모색'을 주제로 열린 이날 세미나에서는 또 뉴스통신사의 소매영업('B2C' 사업)에 대한 토론도 진행됐다.
과거에는 주로 신문과 방송에 뉴스를 공급해 '뉴스 도매상'으로 불리던 뉴스통신사들이 현재는 포털과 모바일에도 뉴스를 제공하는 것을 놓고 언론계 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논란과 관련된 것이다.
최영재 교수는 먼저 "연합뉴스가 도매 사업만 해야 한다는 규정은 어디에도 없으며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일"이라면서 "연합뉴스의 역할을 규정한 뉴스통신진흥법에도 B2C 사업을 할 수 있도록 명시돼 있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이어 "정치적으로 편향되고 왜곡된 정파적 신문에 비해 국가기간뉴스통신사인 연합뉴스는 상당히 객관적인 정보를 생산해 유통시키고 있다"면서 "국민이 그런 정보를 헐값에 또는 무료로 향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연합뉴스의 B2C 사업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달 뉴시스는 특정 주제에 맞춰 이번 세미나를 열어 줄 것을 언론학회에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뉴시스 측은 또 이번 행사 비용을 상당 부분 지원했으며 발제자 선정 등에도 일부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