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특수부대 전투 보직도 여성에 개방

지침변경으로 특전단, 레인저 등 4천100개 보직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3-06 09:57:54

미국, 특수부대 전투 보직도 여성에 개방

지침변경으로 특전단, 레인저 등 4천100개 보직



(서울=연합뉴스) 김선한 기자 = '금녀의 영역'으로 존재해온 미군 특수부대 전투 보직이 여성에게도 대거 개방돼 조만간 'GI 제인' 탄생이 가시화하게 됐다.

미 군사 전문지 아미타임스(AT)는 5일(현지시간) 관련 소식통의 말을 빌려 특전단(그린베레), 레인저 등 그동안 여성들에게 닫힌 4천100개 이상의 특수부대 지상 전투부대 보직이 지난달 27일 지침변경 조치로 개방됐다고 보도했다.

여성에게도 개방되는 특수부대 지상전투 보직은 현역, 주방위군, 예비군을 포함한 숫자로 개방 시한은 2015년 회계연도가 끝나는 오는 9월 30일까지다.

AT는 여단급 이하 특수부대에 적용되는 이번 조치는 여성 접근을 사실상 봉쇄해온 '직접 지상전투 보직 규정'(DGCAR) 철폐 정책의 하나다.

이 정책은 야전포병대대내 보직 등 그동안 여성들에게 차단됐던 80여개 부대 1만3천여개의 보직 개방을 시작한 2012년부터 시행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에는 3천600개의 야전포병 장교 보직과 여단전투팀이 중심인 훈련부대들의 장교 및 사병 보직 3만3천여 개를 여성들에게 각각 개방했다.

또 특수부대원들의 은밀 침투와 퇴출을 담당하는 제160 특수전항공연대(SOAR)의 헬기조종사와 정비사 보직도 개방됐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육군은 그동안 '금녀의 성역'이었던 레인저학교(Ranger School)의 입교를 허용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모두 6명의 여성 장교가 레인저 훈련 평가 과정을 통과해 다음 달 첫 입교를 앞둔 상태다.

그러나 이들이 레인저학교를 수료하더라도 실제 전투를 담당하는 제75 레인저연대에 근무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소부대 전술 습득과 리더십 배양 등을 주목으로 하는 2개월 과정의 레인저학교는 산악, 늪지, 사막, 하천 등지에서 훈련을 실시한다. 훈련과정이 만만치 않아 교육생의 수료율은 평균 40%에 불과하다.

중부 조지아주 포트 베닝의 레인저학교는 이런 특성 때문에 그동안 육, 해, 공군과 해병대 등 미군 전체와 세계 각국의 특수전부대로부터 자원자들을 받아들였다. 실제로 미군 장성 상당수가 레인저학교를 수료했으며, 이는 곧 엘리트 과정을 거쳤음을 상징해왔다.

전두환 전(前) 대통령과 최세창 전 국방장관 등 5공 군부 실세들도 이 교육과정을 마쳤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