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러 외무 제네바서 회동…우크라 휴전이행 논의(종합)
우크라 대통령, 유엔 평화유지군 파견 요청서에 서명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3-02 23:47:11
미-러 외무 제네바서 회동…우크라 휴전이행 논의(종합)
우크라 대통령, 유엔 평화유지군 파견 요청서에 서명
(브뤼셀·모스크바=연합뉴스) 송병승 유철종 특파원 =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2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만나 우크라이나 휴전협정 이행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케리 장관과 라브로프 장관은 우크라이나 내전 종식을 위한 '민스크 평화협정'을 준수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감시하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회담 소식통이 전했다.
양국 장관은 특히 불안하게 유지되고 있는 휴전협정의 확실한 이행을 보장하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프랑스, 독일 등 4개국 정상은 지난달 12일 벨라루스 수도 민스크에서 정상회담을 열어 우크라이나 동부 정부군과 반군 간 휴전협정을 이끌어 내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지난달 15일 협정이 발효한 이후에도 양측 간의 산발적인 교전이 끊이지 않으면서 협정이 무산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그러다 최근 정부군과 반군이 모두 민스크 협정의 중요 합의 사항인 중화기 철수에 착수하면서 긴장의 수준은 낮아졌다.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유럽연합(EU) 중재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가스 공급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열린 케리-라브로프 장관 간 회담에서는 유럽의 에너지 공급 안정화 방안도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이날 제네바에선 유엔 인권이사회가 열려 세계 각국의 인권침해 문제가 다뤄졌으며 이 자리서 우크라이나 내전으로 인한 인명피해도 주목받았다.
자이드 라드 알 후세인 유엔 인권최고대표는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1년 가까이 진행된 우크라이나 동부 교전 사태로 6천명 이상이 희생됐다고 밝혔다.
한편 페트로 포로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유엔과 유럽연합(EU)에 평화유지군 파견을 요청하는 결정에 최종 서명했다고 러시아 인테르팍스 통신이 전했다.
앞서 지난달 18일 우크라이나 국가안보위원회가 내린 결정을 최종 승인한 것이다. 이에따라 우크라이나로의 유엔 평화유지군 파견 문제가 본격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크라이나 국가안보국방위원회 위원장 알렉산드르 투르치노프는 앞서 정부군과 분리주의 반군 간 교전 지역인 동부 돈바스(도네츠크주와 루간스크주) 지역 외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국경 지역에도 평화유지군이 파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포로셴코 대통령은 러시아는 평화유지군에 참여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다.
또 포로셴코 대통령의 비상임 고문을 맡고 있는 미하일 사카슈빌리 전(前) 조지아(러시아명 그루지야) 대통령은 이날 우크라이나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우크라이나로 무기를 공급하기위한 준비가 99%돼 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의 미국 무기 도입 협상을 중재하고 있는 사카슈빌리는 "우리가 원하는 것은 미국에서 방어적 성격의 무기를 공급받는 것"이라며 "다음 주 미국 의회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을 주장하는 거센 요구가 쏟아질 것"이라고 전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