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호 비서진 대폭 축소…공무원에 힘 싣는다

실·국장 책임제 도입…대형 프로젝트 추진력 확보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3-02 22:46:23


박원순호 비서진 대폭 축소…공무원에 힘 싣는다

실·국장 책임제 도입…대형 프로젝트 추진력 확보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재임 9개월에 접어든 박원순 서울시장이 측근인 비서실을 대폭 축소하고 실·국장 등 공무원의 권한을 강화함으로써 대형 프로젝트들을 본격적으로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2일 서울시에 따르면 박 시장은 최근 비서실 중 정책수석실과 미디어수석실을 없애고 실·국장 책임제와 매주 시장이 주재하는 정례회의를 도입하는 내용의 조직개편안을 결재했다.

서울시 비서실은 박 시장 1기 때부터 명칭과 장(長)은 다소 바뀌었지만 정책수석, 정무수석, 비서실장, 미디어수석 등 4개 조직으로 꾸려져 왔다.

이들 조직은 시민운동가 출신으로 시에 입성한 인물들로 구성돼 정책·사업 동력이 부족했던 박 시장의 브레인이자 지원군 역할을 했다.

그러나 비서실의 힘이 강해지면서 실무 부서가 주요 이슈나 대형 사업에 주체적으로 나서기를 꺼리고, 시장과 실·국장 간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등 부작용도 생겨났다.

최근 비판 여론이 형성됐던 서울역 고가 보행로 조성 사업의 추진 과정이나 서울메트로·도시철도공사 통합 등 굵직한 이슈에서 공무원이 배제되거나 제대로 목소리를 내지 못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지적됐다.

21개에 달하는 투자·출연기관도 원래는 실·국·본부에서 관리·감독해왔지만 비서실에서 직접 지시·소통하는 경우가 늘면서 공무원의 힘이 약화했다. 실·국장들은 권한이 줄다 보니 책임지기를 꺼리는 경향도 보였다.

비서실 권한 강화는 업무적인 허점뿐만 아니라 '코드 인사', '낙하산' 등 박 시장이 정치적으로 공격받는 빌미가 되기도 했다. 이번 조직 개편은 여당 등에서 박 시장에 대한 공격 수위를 높이고 있는데 따른 불가피한 대응책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이번 조직개편으로 정책수석과 미디어수석실은 사라지고 비서실장은 행정직 공무원이 임명될 예정이다. 비서실장 이하에는 기획보좌관과 정책보좌관을 둬서 정무적 사안을 조율할 수 있게 할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 등과의 소통을 담당하는 정무수석은 기능을 강화한다.

조직 개편을 앞두고 김원이 정무수석과 문호상 미디어수석은 먼저 사의를 표명, 박 시장이 사실상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왕진 정책수석과 천준호 비서실장은 비서실에 잔류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실·국장책임제와 매주 시장이 주재하는 정례회의가 도입돼 공무원의 권한과 책임은 강화된다. 실·국장이 연초에 업무보고를 할 때 약속한 사업과 정책의 추진 정도를 평가해 인사에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지난달 연찬회에서 시장이 직접 조직 개편의 의지를 밝혔다"며 "공무원이 주체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투명한 행정을 실현할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