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얼세대 美경제 중추 부상하나…고용·임금 전망 '쾌청'

올해 베이비붐세대 인구수 추월…지표서도 다른 계층 앞서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2-22 21:18:23

밀레니얼세대 美경제 중추 부상하나…고용·임금 전망 '쾌청'

올해 베이비붐세대 인구수 추월…지표서도 다른 계층 앞서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기자 = 2008년 금융위기와 그 후폭풍에서 여전히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미국의 '밀레니얼 세대'(15∼34세)가 최근의 경기회복세에 힘입어 미국 경제의 주력부대로 거듭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밀레니얼 세대는 1981년에서 2000년 사이 태어나 21세기 들어 성인이 된 첫번째 세대로, 2차 세계대전 이후 출생한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들을 일컫는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사회에 첫발을 내딛었으나 2차 대전 이후 최악으로 평가받는 경기 침체와 함께 5년 넘게 암흑기를 보내면서 아직은 미국 경제의 중추 역할을 떠맡지 못하고 있는 청년층이기도 하다.

올해 미국에서 밀레니얼 세대 인구가 처음으로 베이비붐 세대를 추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최근 이들의 고용·임금 지표가 동반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이들 세대가 새로운 경제적 발판을 마련하리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밀레니얼 세대의 고용과 임금 상승률이 함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밀레니얼 세대에 속하는 25~34세 인구의 고용률은 지난 1월 76.6%를 기록, 2008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2008년 금융위기로 직격탄을 맞았던 밀레니얼 세대의 임금은 최근 들어 다른 연령대보다 빠르게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4분기 16~24세의 주급 중간값은 전년도보다 4.8% 상승했고, 25~34세의 주급 중간값은 2.4% 올랐다고 웰스 파고 은행은 밝혔다. 45~54세(1.7%), 35~44세(0.8%)보다 훨씬 높은 상승률이다.

밀레니얼 세대와 관련한 경제 지표 호전은 이들 세대의 인구 증가와 맞물려 경제적인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퓨리서치 센터는 미국 밀레니얼 세대 인구가 올해 7천530만명에 도달, 1946~1964년 출생한 베이비붐 세대(7천490만명)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부동산 정보업체 트룰리아의 제드 콜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밀레니엄 세대의 경제력이 향상되면 가족이나 친구의 집을 떠나 독립하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라며 이는 소비 증대와 건축 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미국 경제 전반에도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민간 연구기관인 컨퍼런스 보드의 가드 레바논 거시경제·노동시장 연구팀 이사는 "젊은 청년층의 임금 상승은 전체 노동 인구의 임금 상승을 견인한다"고 분석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