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전 합의 우크라이나, 경제위기 극복과제 산적
통화가치 폭락·재정적자·기업 경영난 등 위기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2-14 19:06:19
휴전 합의 우크라이나, 경제위기 극복과제 산적
통화가치 폭락·재정적자·기업 경영난 등 위기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기자 = 우크라이나가 정부군과 반군의 동부 지역 교전을 끝내기 위한 2차 휴전 합의에 성공했지만, 경제적으로는 여전히 엄청난 난제에 봉착해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우크라이나는 1991년 옛 소비에트연방(소련)에서 독립한 이후 정부 관료들의 방만한 경제 운영과 부패가 반복됐고, 지난해 4월 이후에는 계속되는 동부 지역 교전까지 더해져 경제 상황이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정부군은 동부 지역 군사작전을 위해 하루 500만~1천만 달러를 쓰고 있다.
15일 0시를 기해 휴전이 발효되고 위반없이 이행된다면 이같은 군사 비용은 절감되겠지만, 우크라이나 경제는 이것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을 정도로 악화한 상태다.
우크라이나 중앙은행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외환보유액은 10년 래 최저치인 64억 달러 수준에 불과하다.
우크라이나 화폐 흐리브냐의 통화 가치는 폭락하고 있고 물가는 급등세다.
우크라이나의 자산 총액 11위 기업인 나드라 은행이 지난주 파산을 선언하는 등 기업들의 경영 악화가 이어지면서 실직자도 속출하고 있다.
동부 교전 사태로 최대 교역국인 러시아와의 교역이 절반 이상 줄어든 점도 경제 위기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
더욱이 우크라이나 정부는 반군이 장악한 동부 지역에서 세금을 걷지 못하면서도 해당 지역에 수도, 전기 등을 공급하느라 지난 1년여간 10억 달러 이상을 썼다.
지난해 삭감했던 동부 지역 공무원 급여와 연금을 휴전 합의에 따라 원래대로 지급하면 정부 지출 비용은 더 늘어나게 된다.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부패 개선을 전제로 우크라이나 경제를 지원하겠다는 방침이지만 현재까지의 지원 규모로는 역부족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12일 우크라이나에 175억 달러(약 19조4천억원)의 구제금융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향후 4년간 우크라이나 정부에 필요한 400억 달러 규모 재정 적자에는 턱없이 모자란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도 이같은 이유를 들어 이날 우크라이나가 '디폴트'(채무불이행)에 처할 수 있다면서 국가신용등급을 'CCC'에서 'CC'로 한 단계 더 강등한다고 밝혔다. 직전 등급과 현재 등급 모두 투자 부적격(정크) 등급에 해당한다.
한편, 휴전 발효를 앞두고 지난 24시간 동안 동부 지역에서 120여 차례의 반군 공격이 있었다고 우크라이나 정부군은 14일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