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가노 동계올림픽 후유증 심각…평창은 달라야"

활동가 에자와 마사오씨 "정보 공개·투명한 재정 운용 중요"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2-11 16:31:39

△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일본 나가노 동계올림픽 예산 전문가인 에자와 마사오 씨가 11일 서울 중구 정동 환경재단에서 '나가노 동계올림픽을 통해, 평창의 길을 묻는다'를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2015.2.11 kane@yna.co.kr

"나가노 동계올림픽 후유증 심각…평창은 달라야"

활동가 에자와 마사오씨 "정보 공개·투명한 재정 운용 중요"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과정에서 환경파괴와 재정파탄을 막으려면 투명한 정보 공개와 환경단체들의 목소리를 듣는 일이 중요하다고 일본인 활동가가 지적했다.

녹색연합, 문화연대 등 환경단체들 초청으로 방한한 일본인 활동가 에자와 마사오씨는 11일 오후 서울 중구 환경재단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시민단체 '올림픽 필요없는 사람들 네트'의 대표인 에자와씨는 환경보호 등을 이유로 1988년 나가노동계올림픽 개최에 반대하는 활동을 벌이면서 올림픽에 들어간 예산을 집중적으로 분석해왔다.

에자와씨는 "나가노현이 올림픽 이후 환경훼손과 재정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며 "평창올림픽도 지금처럼 무분별한 환경파괴와 대책 없는 경기장 건설로 치러진다면 나가노의 전철을 밟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에자와씨에 따르면 나가노현 이즈나 고원의 봅슬레이장은 미끄럼대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극약 물질이자 주변 생물에 치명적 영향을 미치는 암모니아를 사용했다.

하쿠바 마을의 나비 서식지는 점프 시설물 설치로 나비의 먹이가 되는 식물 군락이 파괴되는 피해를 봤고, 야마노우치마치 시가고원의 멸종위기종 서식지에는 대규모 교량과 터널 등이 건설되기도 했다.

이처럼 새로운 시설물을 무리하게 건설하는 바람에 나가노현은 1985년 올림픽 유치 시작 당시 1천500억엔이었던 빚이 현재 1조800억엔으로 불었다.

에자와씨는 "단 2주의 경기를 위해 막대한 비용을 쓰고 자연을 파괴해도 되는지 의문"이라며 "한국 정부는 나가노현의 경험을 교훈으로 삼아 평창올림픽 관련 정보를 시민에 공개하고 투명하게 재정을 운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에자와씨는 오는 12일 강원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환경파괴 논란이 불거진 가리왕산을 방문한 뒤 13일에는 '나가노를 통해 평창의 길을 묻다' 국회 토론회에 참석한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