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웨어러블 발전소자' 유네스코 10대 기술 대상
조병진 교수팀 개발…체온으로 전기생산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2-04 19:43:51
△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조병진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웨어러블(Wearable) 발전소자(체온 전력 생산기술)'가 유네스코가 선정한 '세상을 바꿀 10대 기술' 대상에 올랐다. 사진은 조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웨어러블 발전소자를 시연하는 모습. ( KAIST 제공)
KAIST '웨어러블 발전소자' 유네스코 10대 기술 대상
조병진 교수팀 개발…체온으로 전기생산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조병진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웨어러블(Wearable) 발전소자(체온 전력 생산기술)'가 유네스코가 선정한 '세상을 바꿀 10대 기술' 대상에 올랐다.
SK그룹은 대전창조경제센터가 보육하는 첨단소재기업 '테그웨이'(CTO 조병진 교수)의 '체온 전력 생산기술'이 4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넷엑스플로 어워드(Netexplo award)' 시상식에서 그랑프리(대상)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유네스코는 에너지, 환경, 교육 등 인류의 삶에 큰 영향을 줄 IT 혁신기술 10개를 선정해 매년 시상한다. 200여명의 전문가 집단 투표로 10대 기술을 선정하고 네티즌 투표로 그랑프리를 뽑는다.
체온 전력 생산 기술은 유리섬유 위에 열전소자를 구현한 것으로, 체온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 미래 전자기기의 중심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웨어러블 기기의 전력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 자동차, 공장, 항공기 등 폐열이 발생하는 다양한 곳에서도 적용할 수 있어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도 적합하고 특히 헬스케어·의료용 패치 등에 활용하면 삶의 질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연구진은 밝혔다.
이밖에 유네스코가 선정한 10대 IT 혁신기술은 다음과 같다.
▲ 중고 스마트폰 이용한 불법벌목 근절(미국) ▲ 자전거 친화 도시 개발 앱(칠레) ▲ 젓가락 이용 음식 성분 분석(중국) ▲ 데이터베이스(DB) 활용 초소형 성분 분석기(이스라엘) ▲ 이메일 및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통합 채팅 스트림(미국) ▲ 폐전자제품으로 만드는 3D 프린터(토고) ▲ 빅데이터를 통한 교육문제 해결(미국) ▲ 사진 촬영으로 수학문제 해결(크로아티아) ▲ 에볼라 확산방지 정보 앱(나이지리아).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