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시절엔 "일본 법적 책임 실현" 입장 분명했던 한국
조영재 기자
cyj117@nate,com | 2015-12-31 23:27:14
당시 국무조종실이 발표한 보도자료에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일본정부와 군(軍) 등 국가권력이 관여한 반인도적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청구권협정에 의하여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고, 일본정부의 법적 책임이 남아있다"고 명시돼 있다.
노 전 대통령은 2004년 3·1절 기념사를 통해 "지금도 정신대 할머니들은 한을 씻지 못하고 정리되지 못한 역사 앞에서 몸부림치고 있다"며 "아직도 우리의 역사에 대한 해석, 오늘의 현실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대립과 갈등을 우리는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2006년 8·15 광복절 경축사 때는 "일본은 헌법을 개정하기 전에 먼저 해야 할 일이 있다"며 "과거에 대하여 진심으로 반성하고, 여러 차례의 사과를 뒷받침하는 실천으로 다시는 과거와 같은 일을 반복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하게 증명해야 할 것"이라고 일본 정부의 반성을 촉구했다.
노 전 대통령은 "독도, 역사 교과서, 야스쿠니 신사 참배, 그리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그것"이라고 덧붙였다.
2007년 3·1절 기념 연설에서는 "최근 미국 하원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청문회에서 인간으로서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고난과 박해를 받아야 했던 우리 할머니들의 생생한 증언이 있었다"며 "아무리 하늘을 손으로 가리려고 해도 일제가 저지른 만행에 대해서는 국제사회가 용납하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금 확인하는 자리였다"고 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