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포스코 비리' 수사 마무리… 정준양 등 32명 기소

이상득·정준양 등 핵심 모두 불구속…'부실수사' 비난 면키 어려워

이영진 기자

refilllyjin@naver.com | 2015-11-11 20:03:23

△ 서울중앙지검에 모습을 드러낸 이상득(80·왼쪽) 전 의원과 정준양(67) 전 포스코그룹 회장. <사진=포커스뉴스 DB>


[부자동네타임즈 이영진 기자] 검찰이 8개월에 걸친 포스코 비리 수사를 마무리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조상준)는 11일 포스코 비리 수사 결과를 발표하고 정준양(67) 전 포스코그룹 회장, 정동화(63)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 배성로(60) 전 동양종합건설 회장 등을 불구속기소했다고 밝혔다.

정 전 회장에게는 뇌물공여와 특경가법상 배임·배임수재, 정 전 부회장에게는 특경가법상 횡령·배임수재, 배 전 회장에게는 특경가법상 사기 등 혐의를 적용했다.

검찰은 이번 수사를 통해 포스코 전현직 임원 17명과 협력사 관계자 13명, 정치인 1명, 산업은행 부행장 1명 등 모두 32명을 재판에 넘겼다.

앞서 불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진 이상득(80) 전 새누리당 의원 등 정권 실세를 등에 업고 포스코 수장에 오른 정 전 회장은 그 보은으로 이 전 의원이 측근들을 통해 운영하는 회사에 특혜를 준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정 전 회장은 이 전 의원이 측근을 통해 운영하는 티엠테크 등 포스코 협력업체 3곳에 수십억원에 달하는 일감을 몰아줬다.

2008년 설립된 티엠테크는 제철소 공장 설비를 보수·관리하는 업체로 매출 대부분을 포스코켐텍에 의존하며 연간 170억~180억원의 매출을 내왔고 이 전 의원의 포항 지역구 사무소장을 지낸 박모씨가 실소유주로 알려졌다.

정 전 회장은 또 코스틸에 처사촌 동서를 고문으로 취업시켰다. 코스틸도 역시 포스코를 통해 257억원의 이득을 취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전정도(57·구속기소) 전 성진지오텍 회장에게 ‘경영권 프리미엄’을 명목으로 시가 2배 가격으로 성진지오텍 지분을 인수해 포스코에 1592억원의 손해를 끼쳤다.

성진지오텍은 2010년 4월 부채비율이 1613%에 달했다. 인수과정은 정 전 회장과 당시 전략사업실장 전모씨 둘만의 결정으로 성사됐고 이사회에는 허위 보고서를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동양종건이 포스코와 포스코건설의 해외공사를 수주하는데도 정 전 회장이 개입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정 전 회장이던 지난 2010년 동양종건은 포스코건설의 인도 CGL제철소 토목공사를 맡게 됐다. 토목공사 규모는 850억원으로 동양종건의 당시 연매출 600억원보다 많은 금액이었다.

그러나 지난 3월 포스코건설 본사를 압수수색하면서 본격 수사에 착수한 검찰은 이 전 의원, 정 전 회장 등 핵심으로 지목된 누구도 구속시키지 못하면서 ‘부실수사’라는 비난을 면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