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연구원 "가계부채 급증 금융불안 적어…저소득층 위험관리 필요"

이종근 기자

tomaboy@hanmail.net | 2016-06-29 19:07:21

[부자동네타임즈 이종근 기자] 가계부채 급증과 관련해 저소득층에 대한 위험성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9일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박춘성 연구위원은 30일 서울시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릴 한국금융연구원 창립 25주년 기념 국제콘퍼런스에 앞서 이와 관련한 내용을 발표할 예정이다.

 

박 연구위원은 미리 배포한 발표문에서 "한국 경제의 뇌관인 가계부채가 금융시장 불안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작지만, 저소득층에 대한 위험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가계부채의 70%는 소득 4·5분위 고소득층 가구에 집중돼 있고 평균 LTV(주택담보대출비율)도 50% 수준이어서 관리가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저소득층의 경우 다중채무자 수와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 최근 들어 꾸준히 늘었다”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고 지적했다.

 

한국은행 통계를 보면 3곳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빚을 진 다중채무자는 작년 11월 말 현재 353만명이다.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원리금 상환비율은 2013년 19%에서 지난해 24%로 상승했다.

 

박 연구원은 “최근 한계기업 비중 증가와 세계시장에서 기업들의 경쟁 심화로 구조조정을 통해 재무개선 뿐만 아니라 사업을 재편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최근 수출의 감소 추세와 급속한 고령화가 잠재성장률의 하방 위험으로 작용한다"며 우리나라 경제의 하방 요인으로 세계 무역의 감소와 중국의 경제 성장률 하락을 지적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