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S 적자' 김무성, 대도무문 '뚝심정치' 나서나

김무성 "한-중 FTA 비준 처리가 우선…선거구.공천룰 논의 이후에"

박윤수 기자

soopy82@hanmail.net | 2015-11-27 16:23:56

△ 지난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의원총회에 참석한 김무성 대표가 얼굴을 만지고 있다. <사진제공=포커스뉴스>


[부자동네타임즈 박윤수 기자] 김영삼 전 대통령의 서거로 잠시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던 국회가 다시 분주히 움직일 전망이다.

 

특히 '통합과 화합'이라는 YS의 유지를 받든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이후 선거구 획정과 관련된 여야 갈등, 공천룰을 둘러싼 당내 갈등에 대해 정치력을 발휘해 잘 수습할 수 있을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

김 대표는 지난 22일 새벽 김 전 대통령이 서거하자 5일 내내 빈소를 지키며 상주를 자임했다.

 

YS의 정치적 아들을 자임한 김 대표가 향후 정치행보에서 YS 특유의 저돌적인 뚝심, 대도무문의 정면돌파, 적과도 손을 잡는 결단력 등을 닮아갈지 주목된다.

 

◆김무성 "한-중 FTA 처리가 우선…선거 논의 이후에"

 

김무성 대표는 일단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의 처리가 우선이라며 다른 발언을 삼가고 있다.

 

김 대표는 27일 국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행복봉사단의 주최로 열린 김장나눔 봉사 행사에 참석해 기자들과 만나 "물론 선거 관련 논의도 시작하지만 한-중 FTA가 분초를 다투는 일로 우선이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어 법안과 예산안을 처리한 뒤 "선거와 관련한 본격적 논의를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의 한 측근 인사는 "김무성 대표의 확실한 입장은 박근혜 정부의 성공이 우선"이라면서 "(박근혜 정부가) 실패하면 다음 정권 창출도 어렵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엄수된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 영결식에 참석한 이명박(오른쪽) 전 대통령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악수하고 있다. <사진제공=포커스뉴스>

 

그는 이어 "국민이 봤을 때는 너무 대통령에게 저자세가 아닌가"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전체적인 면을 봤을 때는 대통령의 뜻을 존중하면서 가는 것이 맞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박근혜 정부의 당면 과제가 한-중 FTA 처리와 노동 5법 등의 4대 개혁법안인 만큼 현 정부의 성공을 위해 이를 충분히 뒷받침한 후 선거 관련 논의를 시작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이 인사는 "YS가 통합과 화합의 메시지를 남기고 가셨다. (김 대표가) 집권당의 대표가 되고 대권후보의 반열에 올라있는 만큼 야당의 주장에도 귀를 기울여야 할 때다"며 "집권당의 대표는 정국을 풀어가야 할 책무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야당의 반대로 FTA 비준안 동의 및 각종 법안의 처리가 지연되고 있는 만큼, 야당의 입장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장한 것이다.

 

오는 30일에 FTA 처리를 위한 본회의가 예정돼 있지만,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가 27일 "일정만 있는 합의문인 만큼 결과는 알 수 없다"고 밝힌 만큼, 김 대표가 야당과 '통합과 화합'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농어촌 지방 주권 지키기 의원모임의 여당 의원들이 지난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새누리당 대표최고위원실에서 점거농성을 하는 동안 김무성(오른쪽) 새누리당 대표가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사진제공=포커스뉴스>

 

◆선거구 획정 및 공천룰 결정…친박계 압박 정면돌파하나

 

김 대표가 한-중 FTA 처리 이후에 논의를 하겠다고 한 선거 관련 문제는 '본게임'이다.

 

선거구 획정 문제와 관련, 경북 지역의 새누리당 의원들을 비롯해 농·어촌 의원들은 지역구가 줄어드는 것에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지난 26일 열린 의원총회에서 장윤석(경북 영주) 의원은 농어촌 지역구 수 감소에 무관심한 동료의원들을 향해 섭섭함을 토로했다.

 

지난 12일 선거구 획정을 두고 여야 지도부가 가진 4+4 회동이 결렬될 당시 '농어촌 지방 주권 지키기 의원 모임' 소속 여당 의원들은 대표실을 점거하고 농성까지 했다.

 

비례대표를 줄이지 않는다면 필연적으로 농·어촌 지역구가 줄어들게 되고, 비례대표를 줄이려면 야당의 강력한 반대에 직면하는 '진퇴양난(進退兩難)'의 상황인 셈이다.

 

△ 지난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 김무성(왼쪽) 대표가 참석해 모두발언하는 동안 서청원 최고위원이 경청하고 있다. <사진제공=포커스뉴스>

 

공천룰은 더욱 난맥이다. 새누리당에서는 친박계와 비박계간 공천룰을 결정한 공천특별기구의 위원장 인선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공천특별기구는 지난달 5일 출범할 예정이었지만 황진하 사무총장을 위원장으로 하자는 김무성 대표의 주장과 신박(新朴) 김태호 최고위원이나 친박계 중진 이주영 의원을 위원장으로 인선하자는 서청원 최고위원간 대립으로 출범이 무산됐다.

 

겉으로 드러난 것은 위원장 인선이지만, 속내는 완전국민공천을 주장하는 김 대표와 친박 의원들을 다수 포진시켜 내년 하반기 국정동력을 확보하려는 청와대간 갈등이다.

 

이와 관련해 김 대표의 측근은 "대표가 주장해온 국민공천을 그대로 계속 추진하되 당헌·당규에 있는 우선공천지역에 대해서도 조금은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그는 이어 "통합과 화합의 정치를 하고, 좋은 인재 당내 영입을 위해서라도 우선공천 제도를 고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우선추천지역'은 여성·장애인 등 소수자나 추천 신청자들의 경쟁력이 현저히 낮다고 판단한 지역에 한해 공천을 하는 것으로 새누리당 당헌 103조에 명시돼 있다.

 

김무성 대표는 지난 새누리당 당헌·당규 개정 때 이에 대해 전략공천의 소지가 있다며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김무성 대표는 올곧게, 초지일관 '완전 국민 공천'으로 가야한다는 입장으로 보인다. 'YS의 아들'이 내딛을 정치행보에 관심이 모아진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