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탄핵,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대세론' 유지될까
심귀영 기자
sgy0721@never.net | 2017-03-10 11:53:15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8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더불어민주당 당사 브리핑실에서 명지대 권인숙 교수 영입발표를 마치고 권 교수에게 꽃을 전달하고 있다. 문 전대표는 세계여성의 날을 맞아 권 교수 및 취재진에게 장미꽃을 전달했다. 2017.03.08.
[부자동네타임즈 심귀영 기자]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이후에도 '대세론'을 유지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정국의 중심이 '정권심판'에서 '국가 현안'으로 옮겨가면서 대세론도 검증대에 오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문 전 대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최근까지 실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대선 후보 지지율 1위를 고수하고 있다. 문 전 대표의 지지율은 역대 최고치인 36%(MBN·매일경제 3월1주차 여론조사)까지 올라섰다.
문 전 대표의 대세론을 위협했던 안희정 충남지사가 '대연정', '선한 의지' 발언으로 지지율이 급락하면서 무난한 본선행이 점쳐진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상임대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등 다른당 후보군과는 지지율 격차가 현격해 현 구도에서는 대선 후보군 중 본선 승리 가능성이 가장 높다.
하지만 문 전 대표가 결승점까지 '대세론'을 유지하기 위해 넘어야할 산도 많다. 문 전 대표과 다른 후보간 지지율 격차가 현격한 상황에서 정권심판을 위해 문 전 대표를 전략적으로 지지했던 중도보수와 충청, 호남 표심이 2~3위 후보에게로 이탈할 수 있다. 보수진영의 재집결도 점쳐진다.
정권심판에서 국정운영 능력, 개헌 등으로 국민적 관심사가 옮겨가면서 문 전 대표의 대응에 따라 지지율이 출렁거릴 수도 있다. 문 전 대표가 대규모로 영입한 인사들의 구설, 당내 친문패권주의에 대한 반발도 문 전 대표를 위협할 수 있다.
우선 안 지사와 이재명 성남시장 측은 탄핵 인용과 적폐청산에 집중했던 민심이 정권교체의 '질적 차이'로 시선을 돌려 반등의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여소야대 국면에서 원활한 국정 운영을 위해 협치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연정' 화두를 선점한 안 지사에게 반등의 기회가 올 수도 있다. 안 지사는 통합 이슈를 부각하며 비문세력 결집에 나서고 있다. 이 시장도 야권을 대상으로 한 '소연정'을 제안하며 차별화 중이다. 문 전 대표도 최근 연대를 언급하고 있지만 안 지사와 이 시장에 비해서는 소극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북한 미사일 발사에 이어 미국 트럼프 행정부에서 전술핵 재배치론이 불거지면서 '외교·안보 이슈'가 부각되고 있는 것도 문 전 대표에게 반갑지 않은 뉴스다. 한미 양국이 주한미군 사드 배치를 본격화하면서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고 있는 문 전 대표는 명확한 입장 표명을 요구받고 있다. 문 전 대표의 대응에 따라 보수층의 표심이 요동칠 수 있다.
문 전 대표가 꾸린 '메머드급 캠프'도 위협 요소다. 캠프 또는 당내 친문인사의 구설은 자칫 문 전 대표에게 번질 경우 지지율 하락을 막기 힘들다. 실제 삼성전자 임원 출신 양향자 최고위원, 전윤철 전 감사원장, 전임범 전 특전사령관, 표창원 의원 등 친문인사들의 구설로 문 전 대표는 곤욕을 치러야 했다. 외부입사를 대거 영입하는 과정서 일부 검증이 불충분한 인사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향후 논란 요소가 남아있는 상황이다.
개헌을 매개로 한 반문연대도 문 전 대표의 대세론을 위협하는 요소로 꼽힌다. 친문계의 친문패권논란도 반문연대의 구심력을 강화할 수 있다. 김종인 전 대표는 민주당을 탈당, 개헌과 경제민주화를 매개로 한 제3지대 구축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은 '분권형 대통령제', '대선 전 개헌'을 매개로 한 공동 개헌안을 마련하는 등 개헌을 매개로 한 반문연대 가능성을 남겨두고 있다. 민주당내 비문계도 여야 3당과 공조를 위해 자체 개헌안 작성을 완료, 회람 중이다.
개헌안이 발의되면 문 전 대표의 대응에 따라 호헌 세력으로 매도돼 지지율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 문 전 대표는 대통령 임기 단축, 대선 전 개헌에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 전 대표가 1위를 달리는 만큼 다른 정치세력으로부터 공격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문 전 대표도 그와 같은 1위 유지에 대한 통과의례를 치르고 있다. 이를 잘 극복하느냐 여부에 대권이 달려 있는 셈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