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경찰, 「전화금융범죄 척결」 위한 금융감독원·금융기관 간 업무협약 체결
광주지방경찰과 금융감독원 광주지원 · 광주은행 등 11개 금융기관 협약식 개최
손권일 기자
kwun-il@hanmai.net | 2016-03-19 08:19:30
[광주=부자동네타임즈 손권일 기자]
△경찰·금감원·금융권은 금융범죄 척결을 위해 긴밀한 공조 체계를 구축하고 112신고 계좌지급정지, 지연인출제, 광주경찰청 지능 범죄수사대 전담수사체제 구축으로 해외 콜센터검거, 대대적 예방·홍보 등으로 전화금융사기 피해를 대폭 감소시키는 등 큰 성과를 거둔 이후 2016년도 각 기관의 중점 협력 사항에 대한 협약식을 개최하게 되었다
경찰 · 금감원 · 금융권은 지난해 4. 13. 경찰청에서 「경찰청 · 금감원 합동 금융 범죄 근절 선포식」이후, 금융범죄의 척결을 위해 긴밀한 공조 체계를 구축하고, 이에 따라 112신고 계좌지급정지, 지연인출제, 광주경찰청 지능 범죄수사대 전담수사체제 구축으로 해외 콜센터검거, 대대적 예방·홍보 등으로 전화금융사기 피해를 대폭 감소시키는 등 큰 성과를 거둠.
※ (전국) '15년 전화금융사기 검거인원 전년대비 159% 증가(6,246명→16,180명), 구속인원 441% (320명
→1,733명)
※ (광주) '15년 전화금융사기 검거인원 전년대비 24% 증가(324명→404명), 구속인원 18명(14년 없음)
하지만 여전히 금융범죄로 인한 피해가 심각하고 갈수록 교묘한 수법으로 진화하고 있음.
특히 서민의 절박한 심리를 악용한 대출사기*와 피해구제 신청조차 어려운 현금수취형 전화금융사기**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
*대출사기 : 저축은행·캐피털(capital)·대부업체 등을 사칭하여 피해자에게 전화한 후, 특별대출 또는 신용등급 조정을 통해 낮은 이율로 대출해주겠다며 조정비·보증금·수수료 선이자 등 각종 명목으로 돈을 편취하는 수법의 사기
**현금수취형 전화금융사기 : 예금 등을 보호해주겠다며 피해자가 직접 돈을 인출. 보관하게 하고 이를 절취하거나, 수사기관 · 금감원 등 직원을 사칭하여 피해자를 만나 건네받는 수법
이에 광주지방경찰청 및 금감원, 금융기관 지역본부장들이 한자리에 모여 금융범죄 척결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천명하고,
- 사기범들이 '소나기만 피하면 된다'는 인식을 갖지 않도록 2016년도 각 기관의 중점 협력 사항에 대한 협약식을 개최하게 되었다.
□ 업무협약식 개요
○ 일시. 장소 : 2016. 3. 17.(목) 10:00~10:40, 광주지방경찰청 5층 무등홀
○ 참석자
-(광주지방경찰청) 제2부장, 수사과장, 수사2계장 등
-(금융감독원) 광주지원장
-(금융기관) 광주은행, 국민은행 광주전남지역그룹, 농협 광주본부, 새마을 금고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 수협 전남지역금융본부, 신한은행 호남본부, 신협중앙회 광주본부, 우리은행 호남본부, 전남지방우정청, IBK기업은행 호남지역본부, KEB하나은행 호남영업그룹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