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생체인증 기술 보안 강화에 나서야
이현재 기자
hyhy3014@naver.com | 2015-12-24 07:19:27
[부자동네타임즈 이현재 기자] 은행들이 고객 확인을 위해 생체인증 기술을 활발하게 도입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응하여 새로운 방식의 피싱 사례들을 미리 분석함으로써 보안강화에 나설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4일 금융연구원의 김동환 선임연구위원은 "생체인증 기술을 활용한 금융서비스는 생체 정보가 유출될 경우 큰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며 "홍채인증 경우, 렌즈 복사 및 삽입 등을 통해 해킹이 가능하다"고 보안 우려에 대해 경고했다.
김종현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생체인증 금융시스템에서 정보가 유출될 경우, 오히려 큰 독이 될 수 있다"며 "정부는 생체인증 관련 규제 및 기준 마련에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한은행은 지난 2일 손바닥 정맥인증을 통해 금융거래가 가능한 디지털 '키오스크'를 선보였다. 정맥인증은 센서에 한쪽 손을 올려놓으면 적외선 센서가 손바닥 피부 속 정맥의 패턴을 읽어내는 방식이다. 통장이나 체크카드 없이 키오스크 센서에 손바닥만 대면 본인 인증을 거쳐 계좌이체, 송금, 출금 등 모든 은행거래를 할 수 있다. 현재 신한은행 본점과 강남별관, 일산 IT센터 등 3곳에서 시범 운영하고 있다.
NH농협은행도 지문인증 기술을 현금입·출금기(ATM)와 모바일뱅킹 플랫폼에 도입시켰다.
KB국민‧우리‧KEB하나은행도 내년 상반기 중 생체인증기술을 활용한 금융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